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문화/생활 > 공연/행사
  • 작게
  • 원본
  • 크게

창동아레나·공예박물관 등 ‘5대 문화시설’ 조성

[온바오] | 발행시간: 2016.07.17일 19:33

오는 2020년까지 클래식콘서트홀, 공예박물관, 시네마테크, 돈화문국악당, 창동아레나가 차례로 문을 엽니다. 또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을 현재 1만 명에서 2020년 4만 명으로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을 28일 발표했습니다. 문화로 풍성해지는 서울,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이번 계획은 2006년 수립한 ‘비전 2015, 문화도시 서울’이 종료됨에 따라 새롭게 수립됐다. 기본적으로 ‘문화적 도시환경 조성’의 성과를 이어가면서 시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또 한양도성 보존관리 종합계획(2012년), 공예문화산업 활성화 3개년 계획(2015년) 등 민선5기·6기에 수립한 분야별 계획들도 포함했다.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계획’은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5,000명이 넘는 시민과 전문가, 공무원이 참여해 자문과 토론을 거쳐 탄생했다.



▲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시민

이 계획은 ‘시민이 행복한 삶’, ‘삶을 위한 문화발전’이라는 방향 아래 시민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5개 범주별(개인, 공동체, 지역, 도시, 행정) 미래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10대 목표를 담고 있다. 아울러 2030년까지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추진해야 할 25가지 세부 이행과제도 함께 수립했다.

첫째, 개인 범주에서는 서울시민 누구나 문화적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시민과 함께 ‘서울시민 문화권’을 처음으로 선언하고(2016년), 서울문화정책 방향의 근간이 될 ‘문화시민도시기본조례’를 제정한다(2017년).

서울형 유니버설 디자인을 2020년 70개소를 목표로 확대 적용한다. 아마추어 동아리 축제를 올해 5개 자치구에서 2020년 전 자치구로 확대 지원한다.

둘째, 공동체 범주에서는 장르 기반의 문화 동아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민 오케스트라 등 문화동아리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마을예술창작소, 마을미디어 등 지역 기반 문화 플랫폼을 구축한다.

다문화 시대에 맞춰 문화다양성조례를 제정하고(2018년) 예술을 통해 소통, 공감하고 힐링하는 예술치유센터를 서울 시내 4개소(권역별) 설치·운영한다. 또 학교 밖 청소년, 집단 따돌림 피해자 등 사회적 일탈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문화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권역별 시민청도 확대 조성한다.

셋째, 지역 범주에서는 시민 여가 및 휴식공간 확보를 위한 `천개의 공원 천개의 숲`(2018년) 조성, 골목길·공원·거리가 무대가 되는 `만개(滿開)의 무대` 3,000회 이상 개최(2020년), 상징성 있는 공공공간에 공공미술 작품을 설치하는 `서울은 미술관 공공미술 프로젝트`(2018년)를 추진한다.

지역 간 문화격차도 없애나간다. 3년 단위로 문화자원생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문화지도를 작성, 문화시설이 부족한 지역에 미술관, 도서관 등 인프라를 확충하는 문화환경 개선에 주력한다. 그 시작으로 문화시설이 부족한 서서울지역에 시립미술관 분관을 건립한다.



▲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10대 추진과제

넷째, 도시 범주에서는 봄(서울드럼페스티벌)여름(서울문화의 밤), 가을(서울거리예술축제), 겨울(서울김장문화제) 4계절 서울 대표축제를 육성하고, 시민생활사박물관, 봉제박물관 등 역사와 현대가 공존하는 다양한 유형의 박물관 13개소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예술인들의 안정된 생활을 지원한다. 예술인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을 2030년까지 1천호를 목표로 조성하고 시내 문화시설 및 사회복지시설에 예술가 단체 입주를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행정 범주에서는 관이 주도하는 기존 방식을 시민이 주도하고 전문가, 공공이 함께 협력하는 방식으로 바꿔나간다.

그 시작으로 올해 시민문화권위원회를 설치하고 분야별 협치 플랫폼을 구축한다. 문화시민도시조례, 예술인복지조례, 문화다양성조례 등 3대 조례를 제정해 제도 기반을 다진다.

시는 2020년까지 시민 문화권 선언과 실행계획 수립 등을 통해 기반 조성을 완료하고 추진동력을 확보한 뒤, 2030년까지 ‘지역문화진흥법’에 근거한 ‘지역문화진흥 기본계획’ 수립에 대응한 매 5년 단위의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립된 계획·사업 등을 꾸준히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문의 : 문화정책과 02-2133-5221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0%
30대 10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배우 고준희가 자신을 둘러싼 '버닝썬 여배우' 루머에 대해 강하게 부인하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지난 11일 유튜브 '스튜디오 수제' 에서는 '최초공개 6년만에 꺼낸 버닝썬 진실 고준희, 그동안 편집 됐던 진짜 이야기 공개 - 아침먹고 가2' 라는 제목의 영상이 새롭게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나이 있어 기대 안했는데" 이정현, 둘째 '복덩이' 임신 경사났네

"나이 있어 기대 안했는데" 이정현, 둘째 '복덩이' 임신 경사났네

배우 이정현이 둘째 임신으로 이제는 두 아이의 엄마가 될 예정이다. 14일 오후 8시 30분 방송되는 KBS 2TV '신상출시 편스토랑' 에서 이정현은 둘째 임신 사실을 고백한다. 그녀는 "가족같은 방송이라서 처음 말씀드린다. 둘째가 생겼다. 편스토랑이 임신 명당인 것

북경-천진-하북과 협력·대화|송가, "교통중추는 경제발전의 중임 짊어지기 위해 설계하고 건설돼야"

북경-천진-하북과 협력·대화|송가, "교통중추는 경제발전의 중임 짊어지기 위해 설계하고 건설돼야"

역과 도시의 융합이란 무엇인가? 웅안(雄安) 도시간 역전 프로젝트 건설현장에서 중국철도건설관리유한회사 웅안지휘부 부지휘장 송가(宋歌)가 답안을 내놓았다.주목받는 웅안 도시간 역전 프로젝트가 바로 역과 도시 융합의 전형이다. 웅안 도시간 역전 프로젝트 전시

흑룡강공항그룹, 단오 련휴 연인원 19만4000명 승객 수송

흑룡강공항그룹, 단오 련휴 연인원 19만4000명 승객 수송

흑룡강공항그룹에 따르면 올해 단오 련휴 동안 흑룡강공항그룹은 총 1427편 항공기의 리착륙을 보장해 승객 19만 4,000명을 수송했다. 단오절 련휴에는 관광, 휴가, 친척 및 친구 방문 등의 려행 수요가 강했으며 흑룡강성 내 공항의 승객은 주로 관광, 친척 방문이며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